A. 주제
AI의 핵심은 데이터, 데이터를 이해하는 도메인 전문가 역할이 중요(SEOUL 2024), 권용만, IT조선, 2024.02.02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09667
“AI의 핵심은 데이터, 데이터를 이해하는 도메인 전문가 역할이 중요” [AI SEOUL 2024]
“AI의 핵심은 데이터다. AI를 산업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관련 분야와 데이터를 잘 이해하는 ‘도메인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다.”이현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PM 그룹 민간전문가는 1
it.chosun.com
B. 요약
AI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 데이터와 도메인 전문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AI 기술이 단순히 기술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전문 지식과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C. 핵심 내용
2월 1일 글로벌 컨퍼런스 'AI 서울 2024'는 AI 기술의 산업 적용과 도메인 전문가의 협력, 클라우드 플랫폼의 역할, 데이터 중심 조직의 필요성 등을 다루며, AI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1. AI의 핵심과 도메인 전문가의 중요성:
이현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PM 그룹 민간전문가는 AI 기술이 단순한 기능일 뿐,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AI 활용률은 2.7%로 낮으며, 이는 기술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기존 방식에 대한 집착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2. 기술 활용의 시기와 데이터의 중요성:
AI 기술은 적절한 시점에 사용해야 성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알고리즘 전문가와 도메인 전문가의 협력이 AI의 일상화와 대중화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3. AI와 클라우드의 역할:
정태일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커스터머 엔지니어는 구글 클라우드가 AI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지원하며, 온프레미스 환경 없이도 A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빅쿼리와 버텍스 AI를 소개했다.
4. 생성형 AI와 데이터 중심 조직:
김기병 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 매니저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데이터 활용과 기업 특화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데이터 중심 조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프로토타이핑과 인프라 비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5. AI 서비스 사례: 클로바 케어콜: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AI SaaS 비즈니스 리더는 고독사 방지를 위한 AI 전화 서비스인 '클로바 케어콜'을 소개했다. 초기 챗봇 기반에서 초거대 AI로 발전하여 대화의 자연스러움과 업무 효율성을 높였으며, 향후 건강 관리와 IoT 디바이스와의 결합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D. 도메인과 AI 전문가, 그리고 나
건축 및 도시계획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한 내용을 AI에게 물어본 대답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필요한 능력
1.데이터 분석 기술
- 통계학 및 수학적 기초: 데이터 분석의 기초 지식
-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 R, SQL 등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언어 이해
2. GIS(지리정보시스템) 기술
- GIS 소프트웨어(ArcGIS, QGIS) 활용 능력.
3. 데이터 시각화
- Tableau, Power BI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 결과 전달.
4.문제 해결 능력
- 복잡한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 기반 해결책 제시.
5. 커뮤니케이션 능력
- 분석 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
필요한 자격증
1.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
- Google Data Analytics Professional Certificate
- Microsoft Certified: Data Analyst Associate
2.GIS 관련 자격증
- Esri Technical Certification
- GIS Professional (GISP)
3. 통계 및 데이터 과학 관련 자격증
- Certified Analytics Professional (CAP)
- SAS Certified Data Scientist
추가적인 학습 및 경험
- 학위: 도시계획, 건축학, 데이터 과학, 통계학 등 관련 분야의 학사 또는 석사 학위
- 인턴십 및 프로젝트 경험: 실무 경험과 포트폴리오 구축
관련 기업
1.건축 설계 회사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현대건설
2. 도시계획 및 설계 회사
- 도시건축연구소, 한국토지주택공사(LH)
3. GIS 회사
- 에스리코리아, 지오시스
4. 컨설팅 회사
- 삼정KPMG, 딜로이트
5. 정부 및 공공기관
- 서울특별시청, 국토교통부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ticles] 지속 가능한 AI 비즈니스를 위한 ESG 프레임워크 (0) | 2024.08.16 |
---|---|
[Book_Review] 빅데이터 시대, 성과를 이끌어 내는 데이터 문해력_카시와기 요시키 (0) | 2024.08.15 |
[Articles] '머신러닝 ' 기초 지식 톺아보기 (0) | 2024.08.08 |
[Articles] 스토리텔링이 있는 긴 글은 어떻게 쓰는 걸까? (0) | 2024.08.06 |
[Ariticles] 그 데이터는 잘못 해석되었습니다.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