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스토리텔링이 있는 긴 글은 어떻게 쓰는 걸까?
A. 주제
스토리텔링이 있는 긴 글을 어떻게 쓰는 걸까?, 김도영, 2024.04.19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552/
스토리텔링이 있는 긴 글을 어떻게 쓰는 걸까? | 요즘IT
보통 브랜딩이나 마케팅 관련 일을 하는 분들은 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편입니다. 볼거리, 즐길 거리가 넘쳐나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책이나 잡지처럼 텍스트로 된 콘텐츠를 즐기는 분들도
yozm.wishket.com
B. 요약
이 글은 긴 글쓰기를 두려워하는 이들을 위해 조언을 제공한다.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독자의 흥미를 유지하고, 글의 목적을 명확히 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긴 글쓰기를 연습하기 위해 문단을 적절히 구성하고, 이야기의 흐름을 말로 설명해보는 것이 좋다. 또한, 임팩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글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C. 주요 포인트
스토리텔링과 긴 글쓰기 모두 타인을 이해시키거나 설득하기 위한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는 일정한 시퀀스가 존재한다. 특히 긴 글은 깊이 있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유용하다.
긴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
1. 문단 나누기: 글을 작성할 때 문단을 명확히 나누어 각 주제를 구분하고, 독자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 구조적 접근: 글의 주요 메시지를 중심으로 구조를 잡아야한다. 핵심 메세지를 명확히 하고 그에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말로 정리하기: 글을 쓰기 전에 내용을 말로 정리해본다. 이 방법은 생각을 정리하고 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구성할 수 있다.
4. 임팩트 있는 구성: 독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는 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각 문장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배치해야 한다.
분량이나 포맷보다는 글쓰기의 접근 방식이 중요하다.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명확히 하며 글의 구성과 짜임새를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고자 노력하여야 한다.
D. 용어 정리
시퀀스: 하나의 상황이 시작되어 끝나는 곳까지 독립된 구성단위
시퀀스는 각 학계에서 쓰이는 뜻이 다르다. 교육계에서는 '학습에서, 단원이 발달하여 가는 차례' , 영화계에서는 하나의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인 구성단위로, 극의 장소, 행동, 시간의 연속성을 가진 몇 개의 장면이 모여서 이루어짐' 을 말한다. 카드놀이에서는 숫자가 연속된 석 장 이상의 같은 종류 카드를 시퀀스라 부르기도 한다.
sequence 연속적인 사건들, 차례로 배열하다, 배열 순서를 밝히다 등의 단어 뜻으로 설명되며, 영화에서 연속성 있는 하나의 주제, 정경으로 연결되는 장면을 시퀀스라 정의하기도 하였다.